Search
📘

[결과 요약 탭] 설문조사의 응답자, 어떻게 구성해야 할까?

오늘의 주제
설문조사의 응답자를 구성하는 2가지 대표적인 방법 #균등할당 #인구비례할당

Data Talk: 누구에게 설문 응답을 받아야 할까?

새미
안녕하세요, 새미입니다!
저번 Data Talk 시간에는 오픈애널리틱스 결과 요약 탭을 볼 때 놓치기 쉬운 표본 오차의 개념을 쉽게 정리해주셨어요. 이번 시간에는 결과 요약 탭의 어떤 기능을 알아보는 시간인가요?
오픈애널리틱스 팀(OA 팀)
새미, 안녕하세요.
오늘은 설문 개요 바로 아래에 있는 응답자 특성 섹션을 볼 예정이에요.
누가 설문조사에 응답하느냐에 따라 설문 결과는 완전히 달라져요. 예를 들어 최근 1주일 내 인스타그램 사용 여부를 20대 여성에게 묻는 것과 50대 남성에게 물었을 때 아예 다른 결과가 나오는 걸 쉽게 상상할 수 있어요. 따라서 어떤 대상에게 설문을 보낼지를 반드시 결정하고 조사를 진행해야 해요. 그래야 문항별 결과도 더 잘 이해할 수 있어요.
무선 이어폰 사용 조사
새미
응답자 특성 섹션을 열어서 보니 성별·연령·거주 지역·직업 등 응답자 특성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가 담겨있네요. 해당 설문의 경우 남녀와 10대~50대 연령의 비중을 동일하게 나눠서 응답자를 구성했군요. 반면에 지역이나 직업에 대해서는 따로 응답자 특성을 나누지 않은 것 같아요.
OA 팀
네, 맞아요.
응답자 특성 섹션에서는 응답자 특성 정보를 모아서 볼 수 있어요. 누구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에요.
말씀 주신 것처럼 지금 보고 계신 설문조사는 성별과 10세 단위 연령을 동등하게 나눠서 응답자를 구성했어요. 이런 응답자 구성 방식을 균등할당이라고 해요. 반면에 성별과 연령대를 같은 비율로 구성하기보다 시장의 상황을 반영해서 응답자를 구성하는 것을 인구비례할당이라고 합니다. 이 2가지 대표적인 응답자 구성 방식을 200% 알아가기 코너에서 자세히 살펴보아요.

응답자 특성 200% 알아가기

균등할당: 가장 쉬운 응답자 구성 방식

균등할당은 성별·연령·거주지역 등을 기준으로 응답자 그룹을 동등한 비율로 나눠서 구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성별로는 남:여=50:50, 연령별로는 10대:20대:30대:40대:50대를 같은 비율로 구성할 수 있어요.
균등할당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동등한 비율로 나눠서 응답자를 구성했기 때문에 결과를 비교할 때도 그룹을 나누어 보기 용이합니다. 만약에 1,000명에게 응답을 받는 다고 할 때 응답자 구성 비율을 정해놓지 않고 먼저 응답을 주는대로 1,000명을 채웠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응답 속도가 빠른 여성과 20대 응답자가 많고 상대적으로 응답 속도가 느린 남성과 50대 응답자의 비중이 작을 가능성이 있어요.
균등할당, 이런 한계가 있어요.
균등할당은 어떻게보면 강제로 조사자가 응답자 구성 비율을 정한 것이기 때문에 시장 내 자연적인 소비자 구성을 그대로 반영하지는 못해요. 예를 들어 무선 이어폰 사용 조사를 한다고 했을 때 아마도 시장 내 소비자 구성은 20대의 무선 이어폰 사용 비율이 높을 것이고, 50대의 무선 이어폰 비중이 낮을 거예요. 따라서 무선 이어폰 사용자 가운데는 전체 인구 구성비 대비 20대 비중이 높고 50대 비중이 작을 거예요. 그러나 연령별 균등할당으로 응답자 구성을 나누면 실제 무선 이어폰 사용자보다 50대 비중이 높기 때문에 실제 시장 내 무선 이어폰 사용자의 전체 응답 결과와는 다를 수 있음을 유념하고 결과를 해석해야 해요.

인구비례할당: 시장 상황을 그대로 반영할 수 있는 응답자 구성 방식

인구비례할당은 대한민국 인구 혹은 조사를 하고자 하는 지역 내 인구 중 실제 소비자의 성별·연령별 비중을 그대로 반영해서 응답자를 구성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설문조사의 전체 응답이 시장 내 소비자의 전체 응답을 대변할 수 있어 균등할당과 다르게 시장을 왜곡 없이 파악할 수 있어요.
표 예시를 통해 인구비례할당으로 응답자를 구성하는 방법을 살펴볼게요.
빨간색 네모 박스 부분은 대한민국의 성별·연령별(20대~50대) 인구 비중이에요. 연령대가 높을수록 인구 비중이 높아요. 이제 파란색 네모 박스를 볼게요. 무선 이어폰 사용률은 대한민국의 인구 비중과 반대로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나고 있어요. 따라서 무선 이어폰 사용자 내 연령별 비중은 빨간색 박스의 인구 비중과는 다르게 나와요. 시장 내 무선 이어폰 사용자 구성을 반영한 결과를 얻고자 한다면 파란색 네모 박스 속 “무선 이어폰 사용자 내 비중”에 맞춰 응답자를 구성하면 됩니다.

데이터와 친해지기 퀴즈

2,000명을 성별(남/녀)과 연령대(10세 단위, 10대~50대)로 균등할당해서 응답자를 구성한다면 30대 여성 응답자는 몇 명으로 구성해야 할까요?

인구비례할당은 동등한 비율로 응답자를 구성했기 때문에 시장의 상황을 반영할 수 있는 응답자 구성 방식이다. (O / X)

누르고 정답 확인하기